- 11장 데이터 다루기
- 판다스
- 넘파이 기능 포함, 다양한 데이터 포멧 지원하여 사용
- 판다스 데이터 프레임 함수
- df.describe()
- 데이터의 정보 (평균, 최소값, 최대값 등등)
- df.corr()
- 각 속성별 상관관계를 수치로 나타내줌
- df.describe()
- 히스토그램
- x = 입력값, y = 빈도수
- 각 노드간 가중치 (w), 각 노드의 바이어스(b)
- wx+b 를 다 시그마해서 활성화 함수 넣고 다시 전달
- 코드
- model = Sequential()
- #입력 레이어 노드 8개
- #히든레이어1 노드 12개
- #히든레이어2 노드 수 8개
- #출력 레이어 노드 1개
- model.add(Dense(12, input_dim=8, activvation='relu', name='Dense_1'))
- model.add(Dense(8, activvation='relu', name='Dense_2'))
- model.add(Dense(1, activvation='sigmoid', name='Dense_3'))
- relu? 렐?루
- 레이어의 수, 노드의 수
- 프로젝트 마다 다르다,
- 최적의 수는 이것저것 시험해보고, 괜찮은거 골라봐라
- 판다스
- 시험
- 151쪽 실행결과 파라미터 수의 의미, none의 의미
- 파라미터는 각 노드간의 가중치(이전 레이어 노드 수 * 현제 레이어 노드 수) + 각 노드의 바이어스(b)
- none?
- 모델 코드
- 코드 전문 외우고 각 파라미터의 의미
- x가 epochs, y가 loss 값인 그래프 + y가 정확도인 그래프
- 예측 한번 해보기
- 하이퍼 파라미터란?
- 사람이 정해줘야되는 파라미터
- 케라스와
- 151쪽 실행결과 파라미터 수의 의미, none의 의미
'수업 > AI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중 분류 multi classification (0) | 2023.05.04 |
---|---|
AI 활용 중간 정리 (1) | 2023.04.18 |
AI 활용 4주차 (0) | 2023.03.29 |
AI활용 3주차 (0) | 2023.03.23 |
AI 활용 2주차 (0) | 2023.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