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네트워크 공학

네트워크 공학 4주차

ksy0314 2023. 3. 23. 10:36
  • 프로토콜
    • 다수의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서 정보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상호간의 규칙
    • 주요 인터넷 프로토콜
      • OSI
      • TCP/IP
    • 프로토콜 3요소
      • 구문 : 데이터 형식, 코딩, 신호레벨, 부호화 등의 규정
      • 의미 : 신호에 대한 해석 및 전송제어,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 규정
      • 타이밍 : 신호 지속 시간, 신호 순서등을 조정하여 데이터 유실 방지
    • 프로토콜 기능
      • 주소 지정
        • 노드 마다 서로 인식 가능한 고유 번호 부여
        • 최소한 송신자의 주소(IP)와 이름(MAC), 수신자의 주소(IP)와 이름(MAC) 필요
      • 단편화와 재조립
      • 순서 지정
      • 데이터 흐름 제어
      • 연결 제어
        • 연결 제어 : 고정된 통신로(가상 회선) 설정, 패킷 순서 보장
        • 비연결 제어 : 패킷마다 망에서 경로 유동적으로 선택
      • 캡슐화
      • 오류제어
      • 동기화
      • 멀티플렉싱
      • 전송 서비스
    • 프로토콜의 전송 방식
      • 비트 방식 : 특별한 의미를 갖는 플래그 비트를 데이터 앞, 뒤에 덧붙여 전송
      • 바이트 방식 : 헤더에 데이터의 문자 개수, 메시지 수신 상태등의 각종 제어 정보 추가 후 전송
      • 문자 방식 : 
    • 프로토콜의 특성
      • 직접과 간접
      • 단일체와 구조
      • 대칭과 비대칭
      • 표준과 비표준
    • 매체 접근 방식
      • 정의 : 데이터 충돌 방지를 위해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전송매체에 접근하는것 
      • CSMA/CD
        • 어러 컴퓨터가 같은 채널을 공유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 채널이 비어있나 확인 후 전송, 충돌 발생시 랜덤 딜레이 후 재 전송
      • 토큰 제어 방식
        • 토큰(전송 권리)를 각 컴퓨터에 순환 시킴 
        • 토큰링 방식
        • 토큰 버스 방식 : 버스형 접속 형태에서 논리적 링 형성을 통해 토큰링 구현

'수업 > 네트워크 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공학 6주차  (0) 2023.04.06
네트워크 공학 5주차  (0) 2023.04.03
네트워크 공학 3주차  (0) 2023.03.16
네트워크 개요  (0) 2023.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