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토콜
- 다수의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서 정보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상호간의 규칙
- 주요 인터넷 프로토콜
- OSI
- TCP/IP
- 프로토콜 3요소
- 구문 : 데이터 형식, 코딩, 신호레벨, 부호화 등의 규정
- 의미 : 신호에 대한 해석 및 전송제어,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 규정
- 타이밍 : 신호 지속 시간, 신호 순서등을 조정하여 데이터 유실 방지
- 프로토콜 기능
- 주소 지정
- 노드 마다 서로 인식 가능한 고유 번호 부여
- 최소한 송신자의 주소(IP)와 이름(MAC), 수신자의 주소(IP)와 이름(MAC) 필요
- 단편화와 재조립
- 순서 지정
- 데이터 흐름 제어
- 연결 제어
- 연결 제어 : 고정된 통신로(가상 회선) 설정, 패킷 순서 보장
- 비연결 제어 : 패킷마다 망에서 경로 유동적으로 선택
- 캡슐화
- 오류제어
- 동기화
- 멀티플렉싱
- 전송 서비스
- 주소 지정
- 프로토콜의 전송 방식
- 비트 방식 : 특별한 의미를 갖는 플래그 비트를 데이터 앞, 뒤에 덧붙여 전송
- 바이트 방식 : 헤더에 데이터의 문자 개수, 메시지 수신 상태등의 각종 제어 정보 추가 후 전송
- 문자 방식 :
- 프로토콜의 특성
- 직접과 간접
- 단일체와 구조
- 대칭과 비대칭
- 표준과 비표준
- 매체 접근 방식
- 정의 : 데이터 충돌 방지를 위해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전송매체에 접근하는것
- CSMA/CD
- 어러 컴퓨터가 같은 채널을 공유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 채널이 비어있나 확인 후 전송, 충돌 발생시 랜덤 딜레이 후 재 전송
- 토큰 제어 방식
- 토큰(전송 권리)를 각 컴퓨터에 순환 시킴
- 토큰링 방식
- 토큰 버스 방식 : 버스형 접속 형태에서 논리적 링 형성을 통해 토큰링 구현
'수업 > 네트워크 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공학 6주차 (0) | 2023.04.06 |
---|---|
네트워크 공학 5주차 (0) | 2023.04.03 |
네트워크 공학 3주차 (0) | 2023.03.16 |
네트워크 개요 (0) | 2023.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