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git

git과 간단한 명령어들

ksy0314 2020. 8. 31. 20:10

git 로컬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파일들은 세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Untracked와 Tracked

이름처럼 git에 의해 파일이 관리되어지는가에 대한 분류입니다.

워킹 디렉토리에서 새롭게 생긴 파일은 기본적으로 Untracked 상태를 가지며

git add나 git commit을 통해 Tracked 상태로 만들수 있습니다.

 

Unmodified와 Modified

Tracked 상태의 파일이 변경되면 Unmodified 상태에서 Modified 상태가 됩니다.

Modified 상태의 파일을 add를 사용하면 Staged 상태로 만들수 있습니다.

 

Staged

Staged상태의 파일은 수정한 파일을 곧 커밋할 것이라고 표시한 상태입니다.

commit 명령어를 사용하면 파일은 다시 Unmodified 상태가 되며 변경사항을 정상적으로 push 할 수 있습니다.

*Staged없이 바로 Modified상태에서 Unmodified 상태로 만들고 싶다면 commit -am을 사용하면 됩니다.

 

출처:https://git-scm.com/book/en/v2/images/lifecycle.png


git init <디렉토리>

이 디렉토리는 git에 관리를 받는게한다는 명령어 입니다.

.git 이라는 숨겨진 디렉토리가 만들어 집니다.


git add <파일이름>

변경사항이 있는 파일을 Staged 상태로 만들어 줍니다.

 

git commit -m "변경사항을 적습니다."

Staged 상태의 파일을 Unmodified로 바꿔줍니다.
Unmodified로 바뀐 파일은 push를 사용해 remote repository에 올릴 수 있습니다.

 

git status

변경사항들을 표시합니다.
(ex. 파일의 수정여부, 새로 생긴 파일...)